보다 더 탄탄한 몸으로, 보다 더 탱탱한 얼굴로 보다 더 빵빵한 삶으로 바꾸어 드리겠습니다.

건강정보

칼럼
강좌
관련질환

 HOME > 건강정보> 강좌

직장인 5명 중 1명, 야식 중독
fjrigjwwe9r3edt_lecture:conts

줄자직장인 5명 중 1명은 밤마다 야식의 유혹을 참지 못하는 야식 중독인 것으로 조사됐다.

온라인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1,330명을 대상으로 ‘야식 중독 여부’에 대해서 물어본 결과, 22.3%가 ‘야식 중독’이라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다.

이들은 한 달 평균 15일 야식을 먹는 것으로 조사됐고, ‘매일 먹는다’는 응답자도 18.9%나 됐다. 중독이 아니라는 응답자들은 한 달 평균 6일 정도 야식을 먹는 것으로 나타나, 2.5배 이상의 차이를 보였다.

야식을 먹는 이유로는 ‘저녁에는 식욕을 억제하기 어려워서’가 45.1%(복수응답)로 가장 많았다. 다음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서(38.7%), 불규칙한 생활방식 때문에(30.6%), 야근 때문에(23.9%), 저녁 약속이 많아서(17.5%) 등이 뒤를 이었다.

즐겨먹는 야식 메뉴로는 ‘치킨, 튀김류’(47.5%, 복수응답)가 1위를 차지했고, 이어 김밥, 떡볶이, 라면 등 분식(44.4%), 빵, 과자(30.6%), 족발, 보쌈(23.6%), 과일(16.8%), 아이스크림(15.8%), 햄버거 등 패스트푸드(14.1%) 등의 순이었다.

야식을 먹는 시간대는 주로 11시(32.7%)였으며, 10시(27.9%), 9시(26.6%), 12시(9.8%), 새벽 1시 이후(3%) 순으로 조사됐다.

그렇다면 야식으로 인해 후유증을 겪는 직장인들은 얼마나 될까? 야식 중독 직장인 중 83.8%가 야식으로 인한 후유증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다.

후유증 1위는 ‘비만, 과식, 체중증가’(80.7%, 복수응답)였다. 이어 소화장애(58.6%), 만성피로(28.9%), 수면장애, 불면증(27.7%), 업무능력 저하 및 무기력증(17.7%), 각종 질환(지방간, 위장장애 등)(14.5%) 등이 있었다.

야식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해서 노력하는 직장인은 59.4%였고, 성별로 보면 여성(87.7%)이 남성(79.6%)보다 더 많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.

하고 있는 노력으로는 ‘규칙적인 식사 습관 만들기’(49.3%, 복수응답)가 가장 많았다. 그밖에 다이어트하기(44.6%), 산책 등 운동하기(36.5%), 물 등으로 포만감 주기(35.1%), 일찍 잠자리에 들기(27.7%), 채소 등 저칼로리로 바꾸기(16.2%) 등이 있었다.

야식의 유혹을 이겨내는 방법
  • 하루 3끼 식사를 잘 챙겨 먹고, 가능한 일정한 시간에 먹도록 한다.
  • 밤에 먹고 싶은 충동이 생기면 물 마시기, 심호흡 등 다른 방법으로 해결한다.
  • 저녁 식사 후에도 배가 고프다면 물을 마시거나 오이, 당근, 토마토 등 저칼로리 식품을 먹는다.
  • 야식을 먹게 되더라도 과식은 금한다.
  • 밤 늦은 시간까지의 TV시청, 인터넷 사용 등은 피한다.
  • 생활 속 스트레스 요인을 감소시킨다.

건강을 위한 첫걸음 - 하이닥 (www.hidoc.co.kr)


이전글 : 여름철, 아토피 관리는 어떻게 할까?
다음글 : 비만의 주범 주류-음주습관 개선 필요